웹 인프라 (8) 썸네일형 리스트형 JWT란 뭘까? 안녕하세요 :) 오늘은 JWT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현실 세계에서 사람이 각자 자신의 신분을 보증하는 것처럼, 웹 환경에서도 사용자 개개인을 인증하는 어떤 방법이 필요합니다. 웹 환경에서는 JWT가 그 역할을 해주는데요.이 글에서는 JWT가 무엇인지, 어떻게 구성되고 작동하는지, 실제 인증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JWT란?Json Web Token의 약자이며,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 인증과 데이터 교환을 위해 사용되는 토큰 기반 Stateless(무상태)인증 방식입니다. 여기서 무상태 인증 방식이란 무엇일까요?서버가 사용자 인증 정보를 별도로 저장하지 않고, 클라이언트가 매 요청마다 토큰을 서버로 보내어 인증을 유지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이 방식을 사용하게 되면, 서버.. 대용량 데이터 처리, 어떻게 하는 걸까? 안녕하세요:) 오늘은 대용량 데이터를 어떻게 처리하는지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유튜브나 구글 같은 대형 플랫폼에서는 매일 수십억 명의 사용자가 콘텐츠를 소비하고, 이로 인해 엄청난 양의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처리됩니다. 이러한 대규모 데이터를 처리하고 저장하는 기술이 없다면, 서비스는 속도가 느려지고나 심한 경우 중단될 수도 있습니다. 대용량 데이터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관리하면서 처리할 수 있을까요?? '분산 스토리지 시스템'을 통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분산 스토리지 시스템Distributed Storage System(DSS)이란, 데이터를 한 곳이 아니라 여러 곳에 나누어 저장하는 시스템입니다. 한 서버(컴퓨터)에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는 대신, 여러 서버에 데이터를 나누어 저장함으로써, 더 많은.. SSR vs CSR, 어느 쪽을 선택할까? 안녕하세요:)저번 시간에는 '웹 페이지가 브라우저에 어떻게 그려지는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렌더링 과정이 웹 페이지 성능과 UX에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며, 최적화 방법도 알아봤었죠. 이번 글에서는 웹 개발에서 상당히 많이 논의되는 두 가지 렌더링 방식인 SSR(Server-Side Rendering)과 CSR(Client-Side Rendering)에 대해 다뤄보려 합니다. 두 가지 방식 중 어떤 방식이 더 좋을까요? 그 답은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 두 가지 렌더링 방식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각 방식의 장단점은 무엇인지, 그리고 어떤 상황에서 어떤 방식을 선택해야 하는지를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SSR과 CSR이 각각 무엇인지부터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렌더링: 브라우저가 웹 페이지를 그리는 방법 안녕하세요:)저번 글들에서는 '웹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무중단 배포, 장애 대응 그리고 GSLB CDN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안정적이고 끊기지 않는 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핵심 기술들에 대해 살펴보았죠. 이번 글에서는 웹 페이지가 어떻게 화면에 표시되는지를 이해하기 위해 '렌더링'이라는 개념에 대해 다뤄보려 합니다. 여러분이 브라우저에 URL을 입력하고, 웹 페이지가 눈 앞에 펼쳐지기까지의 과정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궁금하지 않으셨나요? 사실 1장에서 렌더링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기는 했지만 자세히 다루지는 않았었습니다. 렌더링은 웹 페이지가 로드되는 과정의 핵심을 이루는 기술로, 웹 페이지의 UX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렌더링 과정을 .. 장애 대응: 안정적인 웹 서비스를 위한 필수 전략 2 안녕하세요:)지난 글에서는 '무중단 배포를 통해 웹 서비스의 지속적인 업데이트와 안정성을 보장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저번 글에 이어서 '장애 대응'에 대해 살펴보려 합니다. 무중단 배포는 서비스가 돌아가기 전, 소프트웨어를 안정적으로 업데이트하고 배포하는 과정이라면, 장애 대응은 실제 서비스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신속하게 대응하는 과정입니다. 오늘은 장애 대응이 왜 중요한지, 어떤 종류의 장애가 발생할 수 있는지, 그리고 장애를 해결하기 위한 전략에 대해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서비스가 예상치 못한 문제를 겪을 때, 어떻게 문제를 감지하고 해결할 수 있는지 궁금하시다면, 계속해서 읽어주세요 > 본격적인 글에 앞서, 장애 대응이 무엇인지 왜 필요한지에 알.. 무중단 배포: 안정적인 웹 서비스를 위한 필수 전략 1 안녕하세요:)지난 글에서는 'GSLB와 CDN이 웹 서비스의 성능을 최적화하고, 안정적인 UX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그 연장선에서, 무중단 배포에 대해 살펴보려 합니다. 평소 사용자들은 서비스가 업데이트될 때도, 예상치 못한 장애가 발생할 때도, 24시간 365일 끊김 없이 서비스를 이용하기를 기대합니다. 오늘은 이러한 기대를 충족시키기 위한 필수 전략에 대해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간단히 개념을 짚고 주요 전략에 대해 자세히 말씀드리겠습니다. 1. 무중단 배포(Zero-Downtime Deployment)란?무중단 배포란, 새로운 버전의 소프트웨어나 업데이트를 배포하는 과정에서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며, 이는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는 동안에도 .. GSLB와 CDN을 활용한 웹 서비스 최적화 안녕하세요:) 오늘은 저번시간에 이어서 'GSLB와 CDN을 활용한 웹 서비스 최적화'라는 주제를 다루어 보겠습니다. 웹사이트의 성능을 최적화하고 사용자에게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어떤 기술이 사용되는지 궁금하시다면, 이번 글을 통해 그 해답을 찾으실 수 있을 것입니다.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통신이 이루어진 후 에 웹 페이지가 어떻게 사용자에게 빠르게 전달되는지, 그 과정을 GSLB와 CDN의 관점에서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GSLB란?GSLB는 Global Server Load Balancing의 약자로, 전 세계에 분산된 여러 서버 중에서 클라이언트에게 가장 적합한 서버로 트래픽을 분배하는 기술이며 DNS에서 발전된 개념입니다.쉽게 말해, 클라이언트가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 그 클라이.. 브라우저에 URL을 입력하면 생기는 일 안녕하세요:) 오늘은 '브라우저에 URL을 입력하는 생기는 일'에 대해 다루어 보겠습니다. 브라우저에 URL을 입력하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요? 간단히 예를 들어보자면, www.naver.com을 입력하면 네이버 홈페이지로 이동이 됩니다. 이 글에서는 naver URL이 입력되고 홈페이지로 이동하기까지의 과정을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해 간단한 이미지를 기반으로 내용을 풀어보겠습니다. 1. PC(Client)먼저, 클라이언트가 PC를 통해 브라우저에 URL을 입력합니다.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은 웹 리소스의 위치를 지정하는 문자열이며, 브라우저에게 어떤 서버에서 어떤 리소스를 요청할지를 알려줍니다. www.naver.com은 www라는 이름의 컴퓨터에서 .. 이전 1 다음